* 본 작품에는 높은 수위의 성애 묘사 및 가학적 장면과 소재가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도서 이용에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피폐물 #강압적관계 #사제관계 #모럴리스 #복학생공 #능욕공 #또라이공 #입걸레공 #집착공 #미인공 #연하공 #수학선생수 #단정수 #미인수 #인생꼬였수 “송재윤 선생님?” 그러니까 선배의 체육복을 얼굴에 뒤집어쓰고 자위를 하다가 걸렸다. “뭐 하고 계세요?” 5반 반장 우태선에게. “얼마나 아프길래 문밖까지 끙끙거리는 소리가 들리나 했는데.” 재밌는 걸 발견한 듯, 예쁜 얼굴이 의뭉스럽게 웃었다. * * * “선생님, 이 문제 모르겠어요.” 손을 들어 나를 불러낸 건 우태선이었다. 뒤에서 두 번째 줄. 그 애에게 가까워질수록, 교실을 가로지를수록, 등줄기를 따라 싸늘한 한줄기가 흘러내렸다. 우태선은 제가 쥐고 있던 펜을 천천히 움직였다. 단정한 손가락이 오른쪽으로 조금씩 비켜날 때마다 그 애의 손에 가려졌던 글자가 하나씩 보였다. [책상 아래에서 빨아줄래요? 나 섰는데.] 인쇄된 종이에 찍힌 폰트처럼 반듯한 글씨는 제가 생겨 먹은 모양과는 달랐다. 직설적인 단어 하나 없이도 외설적이었으며, 상냥한 어투임에도 내 기분을 나락으로 떨어트렸다. “…이 정도는 스스로 해결해야지.” “저 혼자서 풀라고요?” “…….” “혼자 해보고 안 되면 선생님 부르라고 하셨잖아요, 아까는.” 우태선을 거쳐서 나오면 평범한 단어도 꼭 이상하게 들리곤 했다. 우태선은 제 말에 당황하는 나를 보는 것을 좋아했으며, 내가 한 말의 뜻을 왜곡하는 것 또한 즐겼기 때문이다. “그렇게 안 봤는데. 무책임하시네요, 선생님.” 여기서 말을 더 섞어봤자 말려드는 쪽은 나라는 것쯤은 뻔한 일이었다. 나는 입을 꾸욱 다무는 것을 선택했다. “나는 정성껏 풀어줬는데.” 나도 모르게 뒤를 돌았을 때, 속을 비운 채로 쥔 주먹을 제 입가에서 흔드는 우태선과 눈이 마주쳤다.
🌟 BL 소설 중 상위 9.29%
평균 이용자 수 1,919 명
* 100명이 선택하면 '명작' 칭호가 활성화 됩니다.
'명작'의 태양을 라이징 해보세요.
“태자비가 그대일 줄은 생각지도 못했습니다.” “저, 전하.” “내가 사내를 반려로 맞을 거라고는 상상조차 못하였고요.” 누이와 단둘이서 살던 영이는 태자비라는 신탁이 내려온 누이를 따라 수도 화경으로 향한다. “그러다 포태라도 하여 태자의 후계라도 생기면 계승권이 복잡해질 겝니다.” 황궁에 도착한 영이는 이황자 청지헌을 새로운 태자로 세우기 위한 음모를 우연히 엿듣게 된다. 누이가 위험했다. 영이에게 누이를 지킬 방법은 없었지만, 대신 할 방법은 있었다. 결국 영이는 제가 신탁의 주인이노라 거짓을 고하고, 누이 대신 태자비 자리에 오른다. 이제 태자비가 아니니 적어도 누이는 괜찮을 거야. 하지만 걸리는 것이 있었다. “태자비께서 나와 둘이서만 있고 싶어 하신다.” 하마터면 마시던 차를 뱉을 뻔했다. “앞으로 저와 둘이서만 있고 싶으실 때는 그들에게 바로 명하시는 것이 빠르고 편하실 겁니다.” 제 반려인 청예건이었다. 그리도 차가웠던 눈빛은 어느새 예쁘게도 휘어져 있었다. ** 본문 중 요약 발췌 ** “게다가 사내의 몸으로 다른 사내의 반려가 될 태자비께서도 이를 침착하게 받아들이셨던 것을 생각해보면….” 영이가 속으로 헉소리를 삼켰다. 반드시 제가 태자비가 되어야 한다는 것에 정신이 팔려 그것까지는 생각하지 못했었다. “혹여 저를 제외한 모두가 같은 뜻이 있지는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영이는 제가 권력에는 추호도 관심이 없다는 것을 알리고 싶었지만 차마 사실대로 말할 수는 없었다. 태자가 믿지 않기만 한다면 차라리 다행이었다. 감히 황제와 태자를 속이고 능멸했다는 괘씸죄로 죽임을 당할 지도 몰랐다. “아닙니다. 저는 정말 태자비의 자리를 탐낸 것이 아니옵니다. 정말, 정말이에요….” 영이는 제 머리를 쥐어뜯고 싶은 심정이었다. 논리정연하게 설득을 해도 부족한 상황에서 그냥 무작정 아니라고만 하면 되겠는가. 통할 리가 없었다. “부인께서 저를 아시는 것이라곤 얼굴과 이름이 고작인데 태자 청예건은 아니라 하시니 이름은 아닐 테고. 그럼 얼굴인가….” “………예. 예. 예!” …지금 제 입을 통해 나온 말이 그렇다는 소린가? 텅 빈 머릿속엔 아무것도 없는데도 영이의 입은 전부터 준비해 온 것처럼 줄줄 읊기 시작했다. “맞아요. 제가 태자 전하를 처음 뵈었던 순간부터 첫눈에 반했습니다. 그래서 제가 태자비라는 것을 알게 된 순간에도 거부감보다 기쁨을 먼저 느낀 것입니다. 정말입니다.”
“태자비가 그대일 줄은 생각지도 못했습니다.” “저, 전하.” “내가 사내를 반려로 맞을 거라고는 상상조차 못하였고요.” 누이와 단둘이서 살던 영이는 태자비라는 신탁이 내려온 누이를 따라 수도 화경으로 향한다. “그러다 포태라도 하여 태자의 후계라도 생기면 계승권이 복잡해질 겝니다.” 황궁에 도착한 영이는 이황자 청지헌을 새로운 태자로 세우기 위한 음모를 우연히 엿듣게 된다. 누이가 위험했다. 영이에게 누이를 지킬 방법은 없었지만, 대신 할 방법은 있었다. 결국 영이는 제가 신탁의 주인이노라 거짓을 고하고, 누이 대신 태자비 자리에 오른다. 이제 태자비가 아니니 적어도 누이는 괜찮을 거야. 하지만 걸리는 것이 있었다. “태자비께서 나와 둘이서만 있고 싶어 하신다.” 하마터면 마시던 차를 뱉을 뻔했다. “앞으로 저와 둘이서만 있고 싶으실 때는 그들에게 바로 명하시는 것이 빠르고 편하실 겁니다.” 제 반려인 청예건이었다. 그리도 차가웠던 눈빛은 어느새 예쁘게도 휘어져 있었다. ** 본문 중 요약 발췌 ** “게다가 사내의 몸으로 다른 사내의 반려가 될 태자비께서도 이를 침착하게 받아들이셨던 것을 생각해보면….” 영이가 속으로 헉소리를 삼켰다. 반드시 제가 태자비가 되어야 한다는 것에 정신이 팔려 그것까지는 생각하지 못했었다. “혹여 저를 제외한 모두가 같은 뜻이 있지는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영이는 제가 권력에는 추호도 관심이 없다는 것을 알리고 싶었지만 차마 사실대로 말할 수는 없었다. 태자가 믿지 않기만 한다면 차라리 다행이었다. 감히 황제와 태자를 속이고 능멸했다는 괘씸죄로 죽임을 당할 지도 몰랐다. “아닙니다. 저는 정말 태자비의 자리를 탐낸 것이 아니옵니다. 정말, 정말이에요….” 영이는 제 머리를 쥐어뜯고 싶은 심정이었다. 논리정연하게 설득을 해도 부족한 상황에서 그냥 무작정 아니라고만 하면 되겠는가. 통할 리가 없었다. “부인께서 저를 아시는 것이라곤 얼굴과 이름이 고작인데 태자 청예건은 아니라 하시니 이름은 아닐 테고. 그럼 얼굴인가….” “………예. 예. 예!” …지금 제 입을 통해 나온 말이 그렇다는 소린가? 텅 빈 머릿속엔 아무것도 없는데도 영이의 입은 전부터 준비해 온 것처럼 줄줄 읊기 시작했다. “맞아요. 제가 태자 전하를 처음 뵈었던 순간부터 첫눈에 반했습니다. 그래서 제가 태자비라는 것을 알게 된 순간에도 거부감보다 기쁨을 먼저 느낀 것입니다. 정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