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초의 신 언제부터 존재하였는지 그 누구도 알지 못하는 작은 산의 산신, 초. 초의 곁에 붙어 있는 어리광쟁이 호랑이 요괴, 요요. 이들의 평화로운 일상은 풍요를 바라는 인간들이 신부를 바치면서 깨지기 시작하는데……. 산신의 신부가 된 소년, 다정한 신, 그리고 아름다운 요괴의 신비로운 여행기. 〈야화野話〉가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 * * 한적한 산골 마을, 풍요를 바라는 그들은 사람을 잡아먹는 대신 소원을 들어준다던 산신에게 제물을 바쳤다. 소년 ‘영’은 산신의 제물로 바쳐진 누이 대신 신부가 되기를 자처한다. 헌데, 신당에 버려진 채 피 흘리며 죽어 가는 그를 구한 건 다름 아닌 무시무시하기로 소문난 산신이었다. “한동안 잠잠하더니……. 이번엔 사내아이로구나. 원하지도 않은 것을 억지로 쥐여 주고 또 시끄럽게 굴겠구나.” 소문과 달리 다정한 산신에게 영은 위험에 빠진 누이를 구해 줄 것을 부탁하고. “나는 본래 소원을 들어주는 존재니, 네 소원을 들어주기 위해 있다 해도 거짓은 아니겠구나.” 언제부터 존재하였는지 그 누구도 알지 못하는 작은 산의 산신, ‘초’. 사람들의 소원을 들어주던 신이 한 명의 소년에게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그자보다 먼저 네 누이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마.” 산신의 신부가 된 소년, 다정한 신, 그리고 그 곁에 붙어 있는 어리광쟁이 요괴의 신비로운 여행기가 펼쳐진다. 세상의 끝 연인을 잃고 슬픔에 빠진 산신, 초. 그로 인해 모든 생을 가진 것들은 죽음을 향해 나아간다. 요요는 초의 행복을 되찾아 주기 위해 죽은 자를 살릴 수 있는 책을 얻기 위해 산을 내려온다. 온이 산에서 내려온 요요를 발견하고 산을 안내해 달라 부탁하지만 이를 무시하는데……. “어디로 가지?” “알아 뭐 하게?” “난 아주 부자야. 아는 사람도 아주 많고.” 목적을 이루려면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했던 요요는 그의 말에 걸음을 멈춘다. “내가 너를 도와줄 테니 너도 날 도와. 나는 산신을 만나고 싶다. 분노했다던, 그 무자비하게 사람을 도륙했다는 잔인한 신을. 어때? 함께하겠어?” 온의 부탁을 들어줄 생각은 없었으나 그의 제안이 썩 나쁘지는 않을 거 같았다. 그러고 보니 이 인간 사내에게선 역한 냄새가 나지 않았다. 오히려 아주 좋은 냄새가 난다. “이름이 뭐야? 난 요요(妖妖).” “온(溫).” 산신을 만나고자 하는 인간과, 산신을 행복하게 해 주고픈 요괴가 함께하는 이야기.
🌟 로맨스 소설 중 상위 77.83%
평균 이용자 수 - 명
* 100명이 선택하면 '명작' 칭호가 활성화 됩니다.
'명작'의 태양을 라이징 해보세요.
<1부> 태초의 신 언제부터 존재하였는지 그 누구도 알지 못하는 작은 산의 산신, 초. 초의 곁에 붙어 있는 어리광쟁이 호랑이 요괴, 요요. 이들의 평화로운 일상은 풍요를 바라는 인간들이 신부를 바치면서 깨지기 시작하는데……. 산신의 신부가 된 소년, 다정한 신, 그리고 아름다운 요괴의 신비로운 여행기. 〈야화野話〉가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 * * 한적한 산골 마을, 풍요를 바라는 그들은 사람을 잡아먹는 대신 소원을 들어준다던 산신에게 제물을 바쳤다. 소년 ‘영’은 산신의 제물로 바쳐진 누이 대신 신부가 되기를 자처한다. 헌데, 신당에 버려진 채 피 흘리며 죽어 가는 그를 구한 건 다름 아닌 무시무시하기로 소문난 산신이었다. “한동안 잠잠하더니……. 이번엔 사내아이로구나. 원하지도 않은 것을 억지로 쥐여 주고 또 시끄럽게 굴겠구나.” 소문과 달리 다정한 산신에게 영은 위험에 빠진 누이를 구해 줄 것을 부탁하고. “나는 본래 소원을 들어주는 존재니, 네 소원을 들어주기 위해 있다 해도 거짓은 아니겠구나.” 언제부터 존재하였는지 그 누구도 알지 못하는 작은 산의 산신, ‘초’. 사람들의 소원을 들어주던 신이 한 명의 소년에게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그자보다 먼저 네 누이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마.” 산신의 신부가 된 소년, 다정한 신, 그리고 그 곁에 붙어 있는 어리광쟁이 요괴의 신비로운 여행기가 펼쳐진다. <2부> 세상의 끝 연인을 잃고 슬픔에 빠진 산신, 초. 그로 인해 모든 생을 가진 것들은 죽음을 향해 나아간다. 요요는 초의 행복을 되찾아 주기 위해 죽은 자를 살릴 수 있는 책을 얻기 위해 산을 내려온다. 온이 산에서 내려온 요요를 발견하고 산을 안내해 달라 부탁하지만 이를 무시하는데……. “어디로 가지?” “알아 뭐 하게?” “난 아주 부자야. 아는 사람도 아주 많고.” 목적을 이루려면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했던 요요는 그의 말에 걸음을 멈춘다. “내가 너를 도와줄 테니 너도 날 도와. 나는 산신을 만나고 싶다. 분노했다던, 그 무자비하게 사람을 도륙했다는 잔인한 신을. 어때? 함께하겠어?” 온의 부탁을 들어줄 생각은 없었으나 그의 제안이 썩 나쁘지는 않을 거 같았다. 그러고 보니 이 인간 사내에게선 역한 냄새가 나지 않았다. 오히려 아주 좋은 냄새가 난다. “이름이 뭐야? 난 요요(妖妖).” “온(溫).” 산신을 만나고자 하는 인간과, 산신을 행복하게 해 주고픈 요괴가 함께하는 이야기.
<1권> 모든 비빈들에게 공평했던 기나라의 황제, 희윤. 그가 늦은 밤, 호숫가에서 한 떨기 작은 꽃을 발견한 순간부터 내명부에는 큰 파란이 일었다. “어찌 그대인가? 모든 것을 버릴 수 있는 나를 두고 폐하를 위해 어느 것 하나 버릴 수 없는 그대라니…….” 어릴 적부터 황제의 여자로 자라 희윤을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하며 살아왔던 황후, 이우. “내 몇 송이 꺾어 줄 테니 폐하께 가져다 드리겠느냐? 꽃이 너무 고와 혼자 보기가 아쉬워 보낸다고 전하여라.” 황제의 작은 꽃으로 궐 안의 귀여움을 독차지하는 어리고 천진한 귀비, 송소화. “다 제가 모자란 탓이 아니겠느냐. 손에 쥐고도 행하지 못함은.” 아름답고 화려한 만큼 독한 가시를 품고 있어 속내를 알 수 없는 혜비, 최이란. 한편, 희윤의 이복형 희원은 황제의 냉대에도 무조건적인 사랑을 보내는 우에게 품어서는 안 될 마음을 숨길 수가 없는데……. “가지 않으마. 네가 떠나라 하지 않는다면 계속해서 네 곁에 있으마.” 저마다의 이유로 황제의 정원에 피어나기 위해 필사적인 꽃들의 이야기. <2권> ‘내게 주어진 것은 고통뿐이었건만 네게 주어진 것은 축복뿐이었다. 나는 모든 것을 빼앗겼지만 네게는 모든 것이 주어졌다. 그러나 결국 너를 망가뜨리는 것은 내가 아니라 너를 원한 그와 그를 원한 네가 될 터였다.’ 예기치 않은 회임으로 소화가 황후가 된 후, 모두가 제각기 원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 움직이기 시작하고 우 역시 황제 희윤에 대한 마음을 끊어 내 제가 쥔 것을 휘두르기로 결정한다. “악은 따로 있지 않으냐. 제 아이의 죽음마저 외면한 비정한 아비가 악이 아니고 무엇이더냐. 하늘이 벌해 주지 않는다면, 내가 직접 벌해야겠다.” 제 손아귀에서 우를 놓지 않으려는 황제 희윤과 우를 마음에 품은 희원은 서로 반목하기에 이른다. “반역이라도 일으킬 셈입니까?” “저는 선택했습니다, 폐하.” “황제의 비를 품고 살아남은 자는 아무도 없었습니다!” “죽음이 두렵다면 시작조차 하지 않았을 일입니다.” 한편, 이란은 황후가 된 소화에게 가짜 서찰을 전달하는데……. 저마다의 이유로 황제의 정원에 피어나기 위해 필사적인 꽃들의 이야기.
모든 비빈들에게 공평했던 기나라의 황제, 희윤. 그가 늦은 밤, 호숫가에서 한 떨기 작은 꽃을 발견한 순간부터 내명부에는 큰 파란이 일었다. “어찌 그대인가? 모든 것을 버릴 수 있는 나를 두고 폐하를 위해 어느 것 하나 버릴 수 없는 그대라니…….” 어릴 적부터 황제의 여인으로 자라 희윤을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하며 살아왔던 황후 이우. “내 몇 송이 꺾어 줄 테니 폐하께 가져다 드리겠느냐? 꽃이 너무 고와 혼자 보기가 아쉬워 보낸다고 전하여라.” 무섭도록 어리고 천진하여 궐 안의 귀여움을 독차지하는 황제의 작은 꽃 송 귀비, 송소화. “다 제가 모자란 탓이 아니겠느냐. 손에 쥐고도 행하지 못함은.” 아름답고 화려한 만큼 독한 가시를 품고 있는 속내를 알 수 없는 혜비, 최이란. 한편, 황제의 이복형 희원은 황제의 냉대에도 무조건적인 사랑을 보내는 우에게 품어서는 안 될 마음을 숨길 수가 없는데……. “가지 않으마. 네가 떠나라 하지 않는다면 계속해서 네 곁에 있으마.” 저마다의 이유로 황제의 정원에 꽃을 피우기 위해 필사적인 꽃들의 이야기. 악의 꽃
시체가 즐비한 무덤가 소나무 숲에 산다 하여, 도래솔이라 부른다. 벙어리 부모 아래서 태어나 말하는 법도 제대로 배우지 못한 어린 솔. 먼저 손을 내민 스승 연아정과 함께 이곳저곳을 떠돌며 살던 어느 날, 이상하리만치 컴컴한 동굴 속으로 굴러떨어진다. 한 줌의 빛도 들지 않는 곳. 어둡기만 한 암흑 속에서 번득인 짐승의 눈. “그 입에 재갈이라도 물리면 조용해질까?” 선인을 연상시키는 새하얀 머리칼과 푸른 눈동자. 사내는 자신을 묘, 라 소개한다. 스승의 오랜 친구라는 신비로운 그의 체온에 기대어 저를 찾는 이가 오기만을 기다리는 사이, 그들은 어느덧 서로의 곁에 머무르기를 바라게 되는데……. * 묘는 서슴없이 도래솔을 꼭 끌어안았다. 그리고 꽤 진지한 목소리로 말했다. “할 말 있어.” 평소와는 조금 다른 목소리였다. 아주 약간 더 가라앉은 목소리였다. 그는 진지한 얼굴로 도래솔을 향해 말했다. 천천히 아주 신중하게. 꾹꾹 눌러 말하는 목소리가 도래솔의 신경을 잡아챘다. “한 번, 단 한 번만 용서해. 아주 큰 잘못이라도 단 한 번만 용서하겠다고 약속해.” 묘한 기분에 도래솔은 고개를 들어 묘를 쳐다보았다. 푸른 눈이 도래솔을 바라보고 있었다.
태초의 신 언제부터 존재하였는지 그 누구도 알지 못하는 작은 산의 산신, 초. 초의 곁에 붙어 있는 어리광쟁이 호랑이 요괴, 요요. 이들의 평화로운 일상은 풍요를 바라는 인간들이 신부를 바치면서 깨지기 시작하는데……. 산신의 신부가 된 소년, 다정한 신, 그리고 아름다운 요괴의 신비로운 여행기. 〈야화野話〉가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 * * 한적한 산골 마을, 풍요를 바라는 그들은 사람을 잡아먹는 대신 소원을 들어준다던 산신에게 제물을 바쳤다. 소년 ‘영’은 산신의 제물로 바쳐진 누이 대신 신부가 되기를 자처한다. 헌데, 신당에 버려진 채 피 흘리며 죽어 가는 그를 구한 건 다름 아닌 무시무시하기로 소문난 산신이었다. “한동안 잠잠하더니……. 이번엔 사내아이로구나. 원하지도 않은 것을 억지로 쥐여 주고 또 시끄럽게 굴겠구나.” 소문과 달리 다정한 산신에게 영은 위험에 빠진 누이를 구해 줄 것을 부탁하고. “나는 본래 소원을 들어주는 존재니, 네 소원을 들어주기 위해 있다 해도 거짓은 아니겠구나.” 언제부터 존재하였는지 그 누구도 알지 못하는 작은 산의 산신, ‘초’. 사람들의 소원을 들어주던 신이 한 명의 소년에게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그자보다 먼저 네 누이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마.” 산신의 신부가 된 소년, 다정한 신, 그리고 그 곁에 붙어 있는 어리광쟁이 요괴의 신비로운 여행기가 펼쳐진다. 세상의 끝 연인을 잃고 슬픔에 빠진 산신, 초. 그로 인해 모든 생을 가진 것들은 죽음을 향해 나아간다. 요요는 초의 행복을 되찾아 주기 위해 죽은 자를 살릴 수 있는 책을 얻기 위해 산을 내려온다. 온이 산에서 내려온 요요를 발견하고 산을 안내해 달라 부탁하지만 이를 무시하는데……. “어디로 가지?” “알아 뭐 하게?” “난 아주 부자야. 아는 사람도 아주 많고.” 목적을 이루려면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했던 요요는 그의 말에 걸음을 멈춘다. “내가 너를 도와줄 테니 너도 날 도와. 나는 산신을 만나고 싶다. 분노했다던, 그 무자비하게 사람을 도륙했다는 잔인한 신을. 어때? 함께하겠어?” 온의 부탁을 들어줄 생각은 없었으나 그의 제안이 썩 나쁘지는 않을 거 같았다. 그러고 보니 이 인간 사내에게선 역한 냄새가 나지 않았다. 오히려 아주 좋은 냄새가 난다. “이름이 뭐야? 난 요요(妖妖).” “온(溫).” 산신을 만나고자 하는 인간과, 산신을 행복하게 해 주고픈 요괴가 함께하는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