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판 소설 중 상위 13.21%
평균 이용자 수 5,518 명
* 100명이 선택하면 '명작' 칭호가 활성화 됩니다.
'명작'의 태양을 라이징 해보세요.
세실리아는 남편인 이든이 자신과 같은 마음이라고 믿었다. 그가 자신을 죽이고 싶었다고 고백하기 전까지는. 가문의 이름을 빼앗고 자신의 사랑마저 짓밟기 전까지는. 그의 다정함이 사실 자신을 향한 기만임을 깨닫기 전까지는. “나도 당신을 죽이고 싶었어요.” 당신은 내가 죽이고 싶을 만큼 미웠구나. 그 절망이 파도처럼 다가와 세실리아를 깊이 잠겨 죽게 했다. 한데 눈을 다시 떴을 때는 그와 결혼하던 순간으로 돌아와 있었다. “그 그림은 내가 당신에게 맹세할 영원한 사랑의 증거가 될 겁니다.“ 신이 이번 생을 선물한 이유는 짐작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번 생의 이든은 전과 달리, 자신을 사랑한다고 했다. 사랑과 배신이 지나간 자리에 핀 증오가 아득했다. 세실리아는 언젠가는 자신을 죽이고 싶었다던, 그러나 지금은 자신을 사랑한다는 남자의 목을 조르며 질문하고 싶었다. 우리, 아직 사랑하고 있나요? #회귀 #오해 #황제남주 #황후여주 #존댓말남 #직진남 #다정남 #복수 #남편유혹하기 #낯선아내 #그러나원앤온리
“…저보고 죽으란 말씀이신가요?” “네가 죽는다고 해도 원하는 대로 자식은 살 테니, 수지에는 맞는 장사 아닌가? 덤으로 네 인생을 평생 뒤흔든 자들에게 복수도 하고.” 에스클리프의 황제, 이반 웨이드 에스클리프가 오연하게 미소 지었다. 작은 얼굴을 쓸어 만지는 커다란 손은 따스하고 부드럽기만 했다. 아이의 목숨을 구걸하는 어미의 마음을 조롱하는 싸늘함과는 다르게. “악마 같은 인간. 나는 당신이 싫어. 이제, 정말로….” “아무렴 거짓으로 점철된 네 인생만큼 싫으려고.” 이반이 달콤하게 속삭였다. 슬픔, 증오, 경멸, 자괴감으로 일그러진 눈물이 바닥으로 뚝뚝 떨어졌다. “당신을 만나지 말았어야 했는데….” “네가 이 세상에 없었다면 더욱 좋을 뻔했지.” 신은 이백 년 전, 제국에 검은 머리에 검은 눈을 가진 신녀 아멜리아를 보냈다. 신녀는 늙지도 죽지도 않으며, 신의 계시를 땅에 전달하는 존재가 되었다. 누구도 그 존재를 의심하지 않았다. “네, 아니. 내 자식을 위해서 죽어. 그런 간절한 마음가짐이라면 그 빌어먹을 신께서도 죽음을 허락할 테지. 아니 그러한가?” 단 하나, 아멜리아를 여자로 만들고 취했던 눈앞의 사내를 제외하면. 한때는 그가 자신이 평범한 여자라는 사실을 알아차려서 다행이라고 생각했으나, 이제는 그게 정말로 다행이었는지 알 수 없었다. 일러스트: 무트
“엘리, 내가 만약 전쟁이 끝나고도 3년 동안 돌아오지 못하면…….” “어셔!” “그러면 내가 죽었단 뜻입니다. 아니면 움직이지 못할 만큼 불구가 되었거나. 그러니 기다리지 말고 당신 인생을 살아요.” 엘레노어 허드슨의 첫사랑, 어셔 피츠먼은 그 말을 남기고 전쟁터로 떠났다. 그러나 전쟁이 끝난 후 돌아온 것은 그의 군번줄뿐이었다. “그 3년 동안은 조금의 미안함이나 불편함이 없도록, 당신에게 내 마음을 받아 달라고 강요하지 않겠습니다.” 전사 소식을 인정하지 못하고, 어셔를 기다리는 엘레노어의 곁을 지켜준 사람은 어셔의 친구이자 엘레노어의 고용주인 로건 클래번이었다. “이제 엘리라고 불러줘요. 로건.” 3년의 마지막 날. 엘레노어는 어셔의 죽음을 인정하고 긴 시간 동안 자신을 향한 로건의 마음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어셔, 어셔 피츠먼님께서 오셨습니다.” 그 순간, 첫사랑이 살아 돌아왔다.
*본 작품은 외전만 19세 이용가입니다. 구매에 참고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저보고 죽으란 말씀이신가요?” “네가 죽는다고 해도 원하는 대로 자식은 살 테니, 수지에는 맞는 장사 아닌가? 덤으로 네 인생을 평생 뒤흔든 자들에게 복수도 하고.” 에스클리프의 황제, 이반 웨이드 에스클리프가 오연하게 미소 지었다. 작은 얼굴을 쓸어 만지는 커다란 손은 따스하고 부드럽기만 했다. 아이의 목숨을 구걸하는 어미의 마음을 조롱하는 싸늘함과는 다르게. “악마 같은 인간. 나는 당신이 싫어. 이제, 정말로….” “아무렴 거짓으로 점철된 네 인생만큼 싫으려고.” 이반이 달콤하게 속삭였다. 슬픔, 증오, 경멸, 자괴감으로 일그러진 눈물이 바닥으로 뚝뚝 떨어졌다. “당신을 만나지 말았어야 했는데….” “네가 이 세상에 없었다면 더욱 좋을 뻔했지.” 신은 이백 년 전, 제국에 검은 머리에 검은 눈을 가진 신녀 아멜리아를 보냈다. 신녀는 늙지도 죽지도 않으며, 신의 계시를 땅에 전달하는 존재가 되었다. 누구도 그 존재를 의심하지 않았다. “네, 아니. 내 자식을 위해서 죽어. 그런 간절한 마음가짐이라면 그 빌어먹을 신께서도 죽음을 허락할 테지. 아니 그러한가?” 단 하나, 아멜리아를 여자로 만들고 취했던 눈앞의 사내를 제외하면. 한때는 그가 자신이 평범한 여자라는 사실을 알아차려서 다행이라고 생각했으나, 이제는 그게 정말로 다행이었는지 알 수 없었다. 일러스트: 무트
금화로 산 트로피 공주 로체스터 왕실의 꽃, 프리지아를 닮은 코델리아 공주. 친왕실파 인사의 망언을 수습하기 위해 귀천상혼할 처지가 되었다. “평민이랑 결혼하라고요? 제가 왜요!” 평민인 것도 모자라 혼인 이력까지 있는 사내라니. 돈은 넘치게 많다지만, 세상엔 그보다 더 중요한 가치가 있는 법이다. “처음 뵙겠습니다, 에드윈 트리드입니다.” 물론 미인의 얼굴만큼 중요한 가치는 세상에 없는 법이지만. “에드윈 트리드에 대해 알고 싶어요.” 그렇게 예비 남편을 보고 첫눈에 반한 순진한 공주님은 “조건이 하나 있습니다.” 아름다운 미소를 짓는 사내로부터 계약서 한 장을 받게 되었다. 거래로 시작한 이 관계, 사랑이 될 수 있을까?
“엘리, 내가 만약 전쟁이 끝나고도 3년 동안 돌아오지 못하면…….” “어셔!” “그러면 내가 죽었단 뜻입니다. 아니면 움직이지 못할 만큼 불구가 되었거나. 그러니 기다리지 말고 당신 인생을 살아요.” 엘레노어 허드슨의 첫사랑, 어셔 피츠먼은 그 말을 남기고 전쟁터로 떠났다. 그러나 전쟁이 끝난 후 돌아온 것은 그의 군번줄뿐이었다. “그 3년 동안은 조금의 미안함이나 불편함이 없도록, 당신에게 내 마음을 받아 달라고 강요하지 않겠습니다.” 연인의 전사 소식을 인정하지 못하고, 어셔를 기다리는 엘레노어의 곁을 지켜 준 사람은 어셔의 친구이자 엘레노어의 고용주인 로건 클래번이었다. “이제 엘리라고 불러 줘요. 로건.” 3년의 마지막 날. 엘레노어는 어셔의 죽음을 인정하고 긴 시간 동안 자신을 향한 로건의 마음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어셔, 어셔 피츠먼 님께서 오셨습니다.” 그 순간, 첫사랑이 살아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