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작품에는 데이트 폭력, 강제적 관계, 잔인한 묘사 등 현실적 트라우마를 자극할 수 있는 요소 및 호불호가 갈리는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구매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예쁘장한 얼굴 아래 자신의 이기적인 면모를 숨긴 채 남에게 빌붙어 살아가던 박휘. 평생 빚에 시달려 궁핍하게 살아온 휘는 여자 친구에게마저 얻어먹을 줄밖에 모르는 찌질하고 이해타산적인 어른으로 자랐다. 빛 좋은 개살구, 그게 휘다. 그런 휘에게 위압적이었던 첫인상과는 다르게 웃는 모습이 멋지고, 친절하고, 돈도 많은 강건주가 다가온다. 돈을 물 쓰듯 쓰고 자신에게 필요한 걸 언제고 내어 주는 건주는 휘의 눈에 어느 누구보다도 무해해 보였다. 그런 그가 낡은 집을 떠나 쾌적한 오피스텔에서 함께 살자고 제안했을 때 휘는 기뻤다. 그저 기뻤고, 기뻐했다. 자신이 제 발로 굶주린 짐승의 혀 위에 올라가고 있다는 사실을 까마득히 모르는 채. *** 휘는 건주가 느닷없이 휘의 바지를 벗겨 내는 것을 보며 어버버거렸다. “왜 그래?” 건주는 대답 없이 휘의 브리프까지 벗겨 버렸다. 그리고 놀라 구부러진 무릎을 두 손으로 잡아 눌렀다. “뭐 하는 거야? 강건주!” “형, 여자 친구랑 헤어져요.” “뭐? 야, 잠깐만.” 어둠 속에서 건주의 눈알이 번들거렸다. 건주는 휘의 종아리를 깔고 앉았다. 휘가 몸을 일으키려 하자 손으로 잡아 누르고 휘의 두 손을 한 손으로 그러잡아 내렸다. 모든 게 너무 빨리 동시에 일어나 휘는 정신을 차릴 수가 없었다. ‘얘 얼굴이 원래 이랬나? 시발. 지금 그게 중요한 게 아니라. 아니 이게 무슨 일이야.’ “건주야, 지금, 너 지금…!” “여자 친구 좋아하지도 않잖아요, 형. 왜 그렇게 눈치가 없어? 지금까지 얼마나… 정말 말을 해야 아는 거야?” 휘를 깔고 앉아 있는 건주의 깊은 얼굴 굴곡들 사이에 작은 창문으로 들어오는 푸른 달빛이 스쳤다. 우뚝한 코와 각진 턱, 근육이 붙어 있는 목이 창백했다. 우람한 드라큘라 같았다. “몸 어디에 팔아야 하는지 아직도 몰라?” “뭐?” 휘는 건주가 있던 테이블에 맥주가 얼마나 비워져 있었나를 떠올려보았다. 한 잔이나 마셨을까. 사실상 건주는 앉자마자 일어난 셈이었다. 이 새끼가 왜 이러지? 휘는 아직도 상황파악이 되지 않았다. 그리고 휘는 온몸을 충격으로 부르르 떨었다. 건주가 휘의 말랑한 성기 전체를 입에 넣었던 것이다. 불알까지 전부.
🌟 BL 소설 중 상위 10.19%
평균 이용자 수 1,646 명
* 100명이 선택하면 '명작' 칭호가 활성화 됩니다.
'명작'의 태양을 라이징 해보세요.
※본 작품에는 강제적 관계, 잔인한 묘사 등 현실적 트라우마를 자극할 수 있는 요소 및 호불호가 갈리는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구매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애디 게리손은 죄인이다. 그는 태어나지 말았어야 했다. 형제들 대신 살아남은 것이 첫 번째 죄이며, 엄마의 죽음을 잊고 진흙 속에 숨어 버린 것이 두 번째 죄이며, 친구의 고통을 대가로 귀족의 성을 얻은 것이 세 번째 죄이다. 그의 죄는 그가 살아 있는 한 계속된다. 애디의 하녀 바르바는 애디를 핍박에서 구해내기 위해 한 사내를 납치해 온다. 사내가 동부의 대영주와 머리 색과 눈동자 색이 비슷했기 때문이었다. 그녀는 애디가 동부 대영주의 아이를 임신하면 목숨을 구할 것이라 생각하고, 애디가 사내와의 사이에서 아이를 얻기를 바란다. 바르바는 사내가 기껏해야 용병이나 될 것이라 생각했지만, 사실 그 사내는 오르코 마르, 나라에서 가장 아름답고 잔인하기로 이름난 전쟁 영웅이었다. 이야기는 애디가 또 다른 죄를 지으며 시작된다. 애디는 자신이 건드는 것이 누군지도 모르고 오르코 마르의 몸에 올라타 그의 씨앗을 몸에 심었다. 그리고 바르바와 함께 도망친다. 그러나 오르코 마르, 장차 가장 강력한 나라를 세운 황제로 역사에 기록될, 집요하고 탐심으로 가득 찬 남자가 애디 게리손을 놓칠 리는 없다. 애디는 결국 그에게 잡혀 섬으로 끌려가게 되는데…….
※본 작품에는 강제적 관계, 마약, 살인, 잔인하고 폭력적인 묘사 등 현실적 트라우마를 자극할 수 있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구매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음길동 빌라촌 반지하에서 할머니와 단둘이 사는 고등학생 우빈우. 학교에서는 왕따를 당하고 있다. 우빈우는 어느 날 살인 장면을 목격하게 되고, 심지어 살인자와 자꾸만 우연한 계기로 엮이게 되는데……. 살인자와의 관계를 통해, 우빈우의 비루하던 삶은 급변하기 시작한다. -본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지명, 기업, 사건 등은 실제와 관련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본 작품에는 강제적 관계, 잔인한 묘사 등 현실적 트라우마를 자극할 수 있는 요소 및 호불호가 갈리는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구매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노골적으로 말해서, 도운 씨는 평균 이하잖아요.” 면접장에서 자신을 탈탈 턴 다음 깔끔하게 탈락시켜 버린 면접관, 은주헌. 어느 날 정신을 잃고 눈을 떠 보니 그 재수 없는 놈과 무인도에 버려져 있었다. 그때는 몰랐다. “우리 궁합이 엄청 좋네요. 느껴지지? 구멍이 내 거에 딱 맞춘 것처럼 찰지게 들러붙잖아.” 퇴로도 없는 섬에 갇힌 채 은주헌에게 붙잡혀 밤낮 없이 시달리게 될 줄은. 게다가. “기다렸어, 네가 나한테 와 주기를.” 끔찍이 싫어했던 그가 한 줄기 빛이 되어 자신의 외롭고 어두운 세계에 끼어들 줄은.
※본 작품에는 강제적 관계, 잔인한 묘사 등 현실적 트라우마를 자극할 수 있는 요소 및 호불호가 갈리는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구매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애디 게리손은 죄인이다. 그는 태어나지 말았어야 했다. 형제들 대신 살아남은 것이 첫 번째 죄이며, 엄마의 죽음을 잊고 진흙 속에 숨어 버린 것이 두 번째 죄이며, 친구의 고통을 대가로 귀족의 성을 얻은 것이 세 번째 죄이다. 그의 죄는 그가 살아 있는 한 계속된다. 애디의 하녀 바르바는 애디를 핍박에서 구해내기 위해 한 사내를 납치해 온다. 사내가 동부의 대영주와 머리 색과 눈동자 색이 비슷했기 때문이었다. 그녀는 애디가 동부 대영주의 아이를 임신하면 목숨을 구할 것이라 생각하고, 애디가 사내와의 사이에서 아이를 얻기를 바란다. 바르바는 사내가 기껏해야 용병이나 될 것이라 생각했지만, 사실 그 사내는 오르코 마르, 나라에서 가장 아름답고 잔인하기로 이름난 전쟁 영웅이었다. 이야기는 애디가 또 다른 죄를 지으며 시작된다. 애디는 자신이 건드는 것이 누군지도 모르고 오르코 마르의 몸에 올라타 그의 씨앗을 몸에 심었다. 그리고 바르바와 함께 도망친다. 그러나 오르코 마르, 장차 가장 강력한 나라를 세운 황제로 역사에 기록될, 집요하고 탐심으로 가득 찬 남자가 애디 게리손을 놓칠 리는 없다. 애디는 결국 그에게 잡혀 섬으로 끌려가게 되는데…….